교재질문방

교재질문방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자유게시판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자료실
각 과목의 자료 모음
정오표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질문입니다.
작성자 : 김진원      작성일 : 2023-09-07 16:40:27      No : 161667

교재명 2021 전기기기 페이지 76
번호/내용 7) (1) 강사명

1. 2021 전기기기 76p 7) (1)에서 분모는 동기 리액턴스이므로 공식에 저항은 없고 직각일 때 최대 출력이라 되있으니 자료실 42p 42번

정답은 90이 되야 하는 거 아닌가요?


2. 42p 47번 반지름이 0.3m니 자속 =0.1[wb/m2] x 파이x(0.3)×(0.3)으로 구하면 되나요?


3. 2021 전기기기 202p 7)에는 없는데  42p 52번의 반도체 다이리스터라는 것은 무엇인가요? 반도체 다이리스터의 속도 제어 내용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4. 56번 정토크 속도제어이므로 계자 제어이므로 계자 전류가 변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5. 51p 58번 다에서 회전자가 짧으면 관성 모멘트가 작은 거 아닌가요? 굵은 게 틀리고 가늘어야하나요? 그래서 선지 '다'가 틀린 건 가요? 


Comments 본문에 대한 댓글을 남기는 공간입니다.
  • 운영교수 2023-09-08 09:33:06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 원활한 답변을 위해 질의 양이 많을 시 2-3개로 나눠서 글을 작성해주시길 바랍니다.


    1.

    부하각이라고 하는 것은 동기전동기 입력전압의 위상각과, 상당일정 모선전압과의 위상차를 의미합니다.

    최대출력은 이 부하각과 전기자저항과 동기리액턴스에 의한 위상각이 같을 때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이 전기자저항과 동기리액턴스에 의한 각도를 구하자 보면.

    x/r 은 tan 세타가 됩니다.

    그렇다면 세타를 구할려면 tan^-1 (x/r)이 되는 것입니다.


    2.

    직류 발전기의 유기 기전력을 구하는 문제이므로,

    E=pΦZN/60a [V] 식을 통해 풀이해주시면 됩니다.


    pΦ=BπDl/2=0.1[Wb/m²]×π×0.6[m]×0.4[m]/2=0.012π[Wb]

    도체수 Z=(코일수)×(코일권수)=24×18×2=864



    여기서, 전기자 코일은 두개의 슬롯(들어가는 코일, 나가는 코일)에 걸쳐서 존재합니다.

    전체 도체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코일수×2를 해야 전체 도체수가 나오게 됩니다.

    만약 도체수를 주어졌다면 2를 곱하지 않아도 되지만,


    코일수가 주어지면 이처럼 2를 곱해야 합니다.



    문제에서 권선법은 단중 파권으로 주어졌으므로 a=2 이고 값들을 다 대입하면,

    E=0.012π×864×1800/60×2=488


    3.

    다이리스터는 사이리스터를 말합니다. 다소 오래된 기출이라 다이리스터로 표현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사이리스터라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4.

    분권전동기 E=V-IaRa=kΦN를 사용해 풀어주시면 됩니다.

    Ia=I-If=P/V-V/Rf=102-100/50=100[A]

    E=100-100×0.05=95, 95=kΦ×1000


    E=V-Ia(Ra+Rs)=kΦN'

    E=100-100×(0.05+0.4)=55, 55=kΦ×N'



    95=kΦ×1000 와 55=kΦ×N'에서 비례식으로 바꾸면,

    95 : 1000=55 : N', N'=95×1000/55=578이므로 답은 근처에 있는 580이 됩니다.



    5.

    네 맞습니다.

    서보모터는 관성모멘트가 작아야 하는데, 

    관성 모멘트를 작게 하기 위해 가늘고 길게 해야합니다.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