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작성자 : 제발좀합격 작성일 : 2023-11-10 15:22:38 No : 163706
교재명 | 2023 전기기사 필기 이론서 - 전력공학 | 페이지 | p.68, 06,07,08 |
---|---|---|---|
번호/내용 | 06,07,08 / 전력의 해석 | 강사명 | 이재현 |
안녕하세요.
06. 역률 80%, 10,000[kVA] 의 부하를 갖는 변전소에 2000[kVA] 의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을 개선하면 변압기에 걸리는 부하는 몇 [kVA] 정도 되는가?
나의 풀이 : 원래 P : 10,000*0.8, Pr = 6,000 ,
콘덴서 설치 후 : Pr' = 6000 - 2000 = 4000, P' = 6000 (변동 없음)
여기까지는 잘 구해지고, 콘덴서 설치시, 무효전력에서 빼주어야 하는 개념 및 원리도 알겠습니다.
그리고, 변압기에 걸리는 부하 가 왜 위에서 구한, 콘덴서 설치후의 P', Pr' 의 피상전력인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듣고 싶은 답변은, 수식이 이러이러하다 가 아닌, 개념이 이해가 안갑니다. 즉, 콘덴서 설치 후의 피상전력과 변압기에 걸리는 부하의 관계가
잘 이해가 안갑니다.
07. 역률 0.8 (지상) 인 부하 480kW 를 공급하는 곳에 ~ 로 문제가 시작됩니다. 여기서 480kW 는 왜 유효전력으로 해석하나요?
08. 3상 배전선로의 말단에 지상역률 80%, 160kW 인 평형 3상 부하가 있다. ~ 여기서도, 160kW 는 왜 유효전력으로 해석하나요?
06번에서는 피상전력으로 해석하고 풀었는데, 07, 08 에서는 유효전력으로 해석하는 풀이가 책에 적혀있습니다.
언제, 유효전력으로 해석하고, 언제 피상전력으로 해석해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