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질문방
- 교재질문방
- 다산에듀 교재 내용 질의교재 구매 회원
- 자유게시판
- 학습자들의 소통방교재 구매 회원
- 자료실
- 각 과목의 자료 모음
- 정오표
- 교재 내용의 오타 또는 수정사항 알림
작성자 : 송민수 작성일 : 2012-06-26 10:22:17 No : 5710
교재명 | 페이지 | ||
---|---|---|---|
번호/내용 | 강사명 |
136P 42번문제 (3)번에서
질문1) PF의 기준 300kVA초과는 주변압기 1000kVA기준인가요? 아니면 부하별 변압기용량
기준인가요?
질문2) 부하별 기준이라면. 콘센트사무자동화동력은 500kVA이상이므로 PF설치하고 두번째
일반동력사무자동화동력 300kVA이하이므로 PF혹은 COS도 사용가능한건가요?
144P 60번문제 에서 질문입니다.
질문3) 고리퓨즈가 A종일수도, B종일수도 있는데, 어차피 A종 1.1배, B종 1.3배 이므로 둘다 용단안되겠지만,
문제에서 A종인지 B종인지 주어지지 않았는데, A종으로 선정하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148P 72번문제 DGR(방향지락계전기,지락방향계전기,유효접지에서사용)
SGR(선택지락계전기,비접지에서사용)이렇게들 설명하는사람들이 많은데요,
질문4) 동영상에서 DOGR이라고 설명 하시던데요.DOGR은 첨보는거라 기기에대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질문5) 선택지락계전기,SGR과SG는 같은것 인가요?
질문6) 델타결선 즉, 비접지에서,질문답변검색해보니
"다른분의 질문) 비접지계통에서 선택지락계전기(SG), OVGR이 사용되고 있어
질문드립니다.
선생님의 답변)지락계전기 (GR)은 SGR과 OVGR을 통틀어서 지락계전기라고 합니다.
ZCT 에는 SGR이 연결되어 있고, GPT에는 OVGR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때 하나의 계전기에 ZCT, GPT가 연결되어 있다면 그 계전기는 GR이 되는 것이고,
독립적으로 되어있다면 각각에 맞는 계전기를 써주시면 됩니다."
제가 궁금한건 델타결선 즉, 비접지에서 DGR이 사용되는이유는 무엇인가요?